본문 바로가기

영화추천102

영화 탈주 , 추격전 대립 남과북 1. 실제를 방불케 한 탈북 추격극, 그 안의 리얼리즘한 순간의 선택이 생사를 가를 수 있는 상황. 〈탈주〉는 바로 그 경계에 선 두 남자의 이야기로, 단순한 탈북극이 아니라 현실 속 긴박함과 비극을 직시하게 만드는 작품이다. 관객은 영화 초반부터 끝까지 극도로 몰입하게 되는데, 이는 단지 이야기의 탄탄함 때문만이 아니다. 실제 상황을 연상시키는 현장감, 구체적인 공간 연출, 그리고 치밀하게 계산된 인물 동선들이 조화를 이루며 스릴러적인 매력을 배가시킨다.주인공 임규남은 공화국군 군인이다. 그는 단 하루만 참으면 본국으로 복귀해 가족을 만날 수 있는 상황이지만, 지독한 현실과 체제에 대한 의문으로 인해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된다. 그의 결정은 결코 가볍지 않다. 훈련 중 갑자기 뛰쳐나온 그의 몸짓은, 체.. 2025. 4. 16.
웡카 리뷰 , 기원 티모시살라메 메세지 1. 윌리 웡카의 기원, 동화 너머의 이야기어린 시절, 초콜릿 공장의 신비로움에 매료되었던 기억은 누구에게나 하나쯤 있을 것이다. 특히 로알드 달의 원작 소설 『찰리와 초콜릿 공장』은 전 세계 수많은 아이들에게 마법 같은 경험을 선사해왔다. 이번에 새롭게 개봉한 영화는 이 상상력 가득한 세계 속 한 인물, 달콤하고도 기묘한 발명가의 과거를 조명하며 완전히 다른 방향으로 나아간다.이번 작품은 기존 이야기에서 다뤄지지 않았던 ‘시작’에 집중한다. 과연 이 천재적인 젊은이는 어떻게 자신만의 공장을 세우고, 세계를 놀라게 한 초콜릿을 만들어냈을까? 영화는 단순한 전기 영화가 아니라, 젊은이의 꿈과 좌절, 우정과 도전이 버무려진 성장 서사로 확장된다.주인공은 선천적인 감각만으로 모든 것을 이뤄낸 인물이 아니다. .. 2025. 4. 16.
영화 소방관 , 이야기 실화 메세지 1. 재난이 아닌 사람을 중심에 둔 시선 – 불길 뒤에 숨은 인간 이야기재난 영화라고 하면 보통은 스펙터클한 CG, 화염 속 구조 장면, 그리고 손에 땀을 쥐게 하는 긴장감 넘치는 전개를 떠올리게 된다. 하지만 이번 작품은 이 같은 장르의 공식을 따르되, 그 속에서 가장 강조되는 것은 '사람'이다. 이 영화는 불을 끄는 이야기가 아니라, 그 불 속에 뛰어드는 이들의 삶을 중심으로 풀어낸다. 바로 그 점이 기존의 재난 영화와는 다른 감동을 자아낸다.주인공은 서울의 한 소방서에서 일하는 팀장급 소방관이다. 그는 누구보다도 현장 경험이 많고, 누구보다도 빠르게 움직이는 베테랑이지만, 가족에게는 늘 미안한 남편이고 아버지다. 그의 아내는 그가 매일 죽음과 맞닿은 곳에서 일한다는 것에 불안을 느끼며, 딸은 점점 .. 2025. 4. 15.
파일럿 후기 , 하늘 사회적비판 조정석 1. 재기의 상징, 하늘로 다시 날아오르다하늘을 향한 두 번째 비상, 영화 '파일럿' 리뷰: 실패와 도전, 그리고 통쾌한 반격의 기록한때 스타 파일럿이자 방송계에서도 얼굴을 알리며 승승장구하던 한 인물은 사소한 사건 하나로 나락으로 떨어지고 맙니다. 그의 몰락은 단순히 개인의 실수로 인한 결과가 아니라, 대중의 기대와 사회적 기준에 의해 철저히 배척당한 현대인의 단면을 보여줍니다. 하지만 그가 다시 하늘을 향해 비상하기 위해 선택한 방법은 다소 기이하고 파격적입니다.여동생의 신분으로 조종사 복귀를 꾀한다는 설정은 얼핏 황당하게 들릴 수 있으나, 실제로 이 전개는 깊은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변장이라는 코믹 요소를 통해 한국 사회의 고정관념, 특히 성별과 직업에 대한 편견을 드러내고 있죠. 특히 항공업계처.. 2025. 4. 15.
인사이드 아웃 2 리뷰 , 사춘기 관계 감정 1. 사춘기의 문턱에서 만나는 새로운 감정들전작이 어린 시절의 감정을 섬세하게 그려냈다면, 이번 후속작은 사춘기라는 예민한 시기를 통과하는 청소년의 내면 풍경을 조명한다. 주인공 라일리는 이제 초등학생이 아닌 중학생, 즉 사회적 관계와 자아정체감에 대한 고민이 본격화되는 시기로 진입한다. 이 변화에 맞춰 그녀의 머릿속 감정 본부도 새로운 멤버들을 맞이하게 된다.기존의 기쁨, 슬픔, 분노, 혐오, 두려움이라는 다섯 가지 감정에 더해, 이번 영화에서는 '불안', '당황', '부끄러움', '질투' 등의 감정이 새롭게 등장하며 이야기의 중심을 이룬다. 이는 사춘기에 겪게 되는 복잡한 감정 변화를 상징하며, 성장이라는 여정을 보다 입체적으로 보여준다.감정들이 서로 충돌하고 협력하며 라일리의 선택에 영향을 주는 과.. 2025. 4. 15.
콘크리트 유토피아 리뷰 , 재난 심리학 은유 1. 재난 그 이후: 무너진 도시는 누구의 것인가?한순간에 모든 것이 무너졌다. 지진이라는 거대한 재난이 서울을 삼켜버린 직후, 살아남은 사람들은 이제 생존을 위한 선택의 기로에 놓인다. 이야기의 무대는 유일하게 멀쩡하게 남은 황궁 아파트. 이곳은 곧 수많은 이들이 몰려드는 생존의 성지가 되며, 공간을 둘러싼 갈등의 시작점이 된다. 영화는 단순한 재난 영화가 아니라, 그 이후에 벌어지는 인간의 심리를 집요하게 들여다본다.황궁 아파트라는 제한된 공간은 마치 축소된 사회처럼 작동한다. 입주민들은 외부인의 유입을 막기 위해 자경단을 조직하고, 스스로 질서를 만들며 생존을 도모한다. 하지만 이러한 자발적인 규율이 곧 폭력으로 이어지고, 약자와 외부인을 배제하는 구조는 파시즘을 떠올리게 한다. 관객은 마치 한 편.. 2025. 4. 12.